재외공관에 근무하는 우리나라 외교관들의 현지 언어 구사 능력이 현저히 떨어질 뿐 아니라 국가별 편차 또한 심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외교통상부가 19일 한나라당 구상찬 의원에게 제출한 '재외공관별 현지 언어 구사 비율(2010년 9월 기준)'을 보면 비영어권 재외공관 100곳의 평균은 36.9%에 그쳤다. 이는 외교부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를 제외한 재외공관 외교관을 상대로 해당지역 어학 등급 보유자나 지역 연수자, 관련 언어 전공자를 집계한 자료다.
자료에 따르면 현지 언어를 적정 수준으로 구사하는 직원 비율이 50%가 안 되는 공관이 61곳에 달했다. 심지어 현지어를 쓸 줄 아는 외교관이 1명도 없는 공관도 29곳이나 됐다. 자원 외교의 주요 대상국인 리비아 대사관, 두바이 대사관 등 아랍어 사용국과 인도네시아 대사관 등이 대표적이다. 아울러 핀란드, 포르투갈 등 8개 유럽연합(EU) 회원국 공관에도 현지어 사용 인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위스 등 한국 여행객이 많이 찾는 국가의 공관들도 현지 언어 구사 비율이 25%가 안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비해 일본과 중국 지역의 현지 언어 구사 능력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100%로 조사된 곳이 5군데인데 고베, 나고야 총영사관 등 모두 일본 지역 공관이다. 칭다오 총영사관(85.7%), 상하이 총영사관(77.8%) 등 중국 공관도 비율이 높았다. 반면 러시아는 러시아대사관 52.6%, 블라디보스토크 총영사관 40.0%로 중국, 일본에 비하면 낮았다.외교부는 특정 외국어 능력을 지닌 재외 공관원에 대해 특수외국어가산금까지 지급하고 있지만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재외공관 인력 배치 때 현지어 구사 가능자를 우대하는 등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 대기업 종합상사 해외 여행중 문제가 생겨서 해외 공간에 가면 도와줄 것이 아니겟는가 아무튼 외무고등고시에서 외국어 비중을 높이든지 그렇게 할 때 공곤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예전에는 중국어, 일본어 구사자들에게도 가산금을 지급해왔지만 현재 영어, 중국어, 일본어 가능 보유자에게는 지급하지 않고 있다. 이 같은 국가별 가산금 지급대상 현지어 구사자는 재외공관 근무자 총 1178명 중 80명(6.8%)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배치된 공관을 제외한 전세계 나머지 68개 공관에는 현지어가 가능한 외교관이 단 1명도 없다는 얘기다.
이에 대해 심 의원은 "외교부가 현지어 습득을 장려하고 있지만 그 실적은 극히 미미하다"며 "이러다보니 해당국과의 영사업무 등 각종 외교업무는 주로 현지에서 고용된 행정원들이 담당한다"고 지적했다.현지어를 구사할 수 없는 외교관이 해당국에서 정무, 경제, 영사 등 외교 업무를 보는 데는 당연히 한계가 따른다 면서 해당국과의 미묘하고도 섬세한 외교업무가 행정원의 손에 맡겨지는 셈이며외교관 선발시 특수어 가능자를 우대하는 등 인센티브를 줘서 그들이 해당국과의 교섭에 외교 첨병이 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이 시급하다고 할 것이다
'외국어교육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벨탑 이전 최초의 공통어는 히브리어다 (0) | 2017.04.14 |
---|---|
다국어 이중언어 국가 벨기에 (1) | 2017.03.15 |
다국어 이중언어의 이점 (0) | 2017.03.14 |
영어가 어려운 이유와 그 해결책 (0) | 2017.03.06 |
언어의 달인 스피치의 달인 (0) | 2017.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