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조규칙정리
1. 중자음 9자 (고유음가 평성-)
ก จ ฎ ฏ ด ต บ ป อ
2. 고자음 11자 (고유음가 4성﹀)
ข ฃ ฉ ฐ ถ ผ ฝ ศ ษ ส ห
3. 저자음 24자 (고유음가 평성-)
ค ฅ ฆ ง ช ซ ฌ ญ ฑ ฒ ณ ท
ธ น พ ฟ ภ ม ย ร ล ว ฬ ฮ
4. 생음
자음: ㄴ ㄹ ㅁ ㅇ 소리가 나는 자음
น ณ ร ล ฬ ม ง ญ ย ว
모음: 장모음(※발음은 단모음이지만 성조상 장모음으로 구분하는 모음)
ไ- ใ- เ-า นำ
5. 사음
생음을 제외한 나머지 자음 모음 모두
(1)무형성조1
① 중 + 생음 = 평성 –
예)
ปี 중자음 ป에 생음(장모음: 이-)가 왔으므로, 평성. 발음은 [삐-], 뜻은 “해, 년(year)”
กิน 이번 경우는 받침이 있다.
중자음 ก + 사음(단모음: 이) + 생음(น) = 평성
받침을 보시고 생음이 오면, 중간에 모음이 단모음이든, 장모음이든 상관없이 생음 처리 발음은 [낀], 뜻은 “먹다”
② 고 + 생음 = 4성 ∨
예)
สี – 고자음 ส에 생음(장모음: 이)가 왔으므로, 고자음의 고유 음가인 4성∨.
발음은 [씨∨-], 뜻은 “색”
เสีย – 고자음 ส에 생음(장모음: 이-야)가 왔으므로 고자음의 고유 음가인 4성.
발음은 [씨∨야], 뜻은 “상하다, 잃다, 손해보다, 나빠지다”
ถาม – 이 것도 받침이 있다. 받침은 생음.
그럼 모음을 볼 것도 없이 ถ(고자음)의 음가를 따라 4성∨.
발음은 [타∨ㅁ], 뜻은 “묻다, 질문하다”
③ 저 + 생음 = 평성 –
예)
ยา 저자음 ย에 생음(장모음: 아-)가 왔으므로 평성-. 발음은 [야-], 뜻은 “약”
ทาง – 이번 경우도 받침이 있다.
우선 받침을 보고 생음인지 사음인지 구별.
생음이므로 모음이 장모음인지, 단모음인지 볼 것도 없이 ท(저자음)의
고유음가인 평성- 발음은 [타-ㅇ], 뜻은 “길, 방법, 수단, 방향
※종자음이 생음으로 끝나는 경우 초자음의 발음이 살아서 유지됨
(2)무형성조2
① 중 + 사음 = 1성↘
예)
จะ - 중자음 จ에 사음(단모음: 아)가 왔으니 1성↘. 발음은 [짜↘], 뜻은 “~할 것이다. (will)”
ปิด – 중자음 ป + 단모음(이) + 사음(ด) = 1성↘
중, 고자음에 받침이 사음이 오면 모음이 장모음이건, 단모음이건 간에 1성.
발음은 [삗↘], 뜻은 “닫다”
จูบ – 중자음 จ + 장모음(우-) + 사음(บ) = 1성↘
중, 고 자음에 받침이 사음이 오면 모음이 장모음이건, 단모음이건 간에 1성↘.
발음은 [쭈-ㅂ↘], 뜻은 “입맞추다”
ดุ – 중자음 ด에 사음(단모음: 우)가 왔으므로 1성↘. 발음은 [두↘], 뜻은 “사나운”
ปาก – 초자음을 보니 중자음 ป이고, 종자음을 보니 사음 ก.
그러니 모음이 장모음, 단모음이든 1성. ↘
발음은 [빠-ㄱ↘], 뜻은 “입”
② 고 + 사음 = 1성↘
예)
เถอะ 고자음 ถ에 사음(단모음: 으ㅓ)가 왔으니 1성.
(중고를 사면 가격이 떨어지니 1성!)
발음은 [트ㅓ↘], 뜻은 “권유형의 문장의 맨 끝에 쓰임.”
สูบ – 1성, [쑤-ㅂ↘], “빨아들이다”
“담배피다” -> สูบบุหรี่ 의 สูบ
บุหรี่ [부↘리↘]는 “담배” 라는 뜻. [부]는 1성, [리-]도 1성.
สอบ – 1성, [써-ㅂ↘], “시험보다”
(3)무형성조3
① 저 + 장모음 + 사음(종자음) = 2성∧
예)
มาก 저자음 ม + 장모음(아-) + 사음 ก = 2성, 발음은 [마-ㄱ∧], 뜻은 “많다, 많이, 매우”
พูด 저자음 พ + 장모음(우-) + 사음 ด = 2성, 발음은 [푸-ㄷ∧], 뜻은 “말하다”
โลก 저자음 ล + 장모음(오-) + 사음 ก = 2성, 발음은 [로-ㄱ∧], 뜻은 “세계, 세상”
② 저 + 단모음 + 사음(종자음) = 3성↗
예)
คิด 저자음 ค + 단모음(이) + 사음 ด = 3성, 발음은 [킫↗], 뜻은 “생각하다”
ทุก 저자음 ท + 단모음(우) + 사음 ก = 3성, 발음은 [툭↗], 뜻은 “모든”
(4)응용성조
응용성조 자음 두개에 모음 하나가 결합한 선도자음에서만 발생함.
※(ร, ล)은 예외
중, 고자음이 선도 자음이면 선도 자음의 성조를 따르게 됨.
중, 고 자음이 선도 자음이라 할지라도 다음에 사음이 오면 각 음절별로 성조를 구분함.
저자음이 선도 자음이면 각 음절마다 성조를 구분하여줌.
① 중, 고자음 + 생음 = 선도자음의 성조를 따름
예)
สนุก [สะ-หนุก]싸↘눅↘ 재미있다
② 자음 + 사자음 = 각 음절의 성조에 따름
예)
ขจัด [ขะ-จัด]카↘짣↘ 배제하다
③ 저자음 + 자음 = 각 음절의 성조에 따름
예)
ชนะ [ชะ-นะ]차↗나↗ 승리하다
요약
① 중 + 생음(장) = 평성 – ปี , เปีย
② 고 + 생음(장) = 4성 ∨ สา , ขา
③ 저 + 생음(장) = 평성 – คา , นาน
④ 저 + 단모음 = 3성↗ นะ , และ
① 중 + 사음(모음+받침) = 1성↘ จะ , จัก
② 고 + 사음(모음+받침) = 1성↘ ถัด , สะ
③ 중 + 사음(모음) + 생음(받침) = 평성 กัน , ปิงปอง
④ 고 + 사음(모음) + 생음(받침) = 4성 ขัง , สัน
① 저 + 장모음(장) + 사음(종자음) = 2성∧ มาตร , เมฆ
② 저 + 단모음(사) + 생음(종자음) = 평성- ฟัน , ดัน
③ 저 + 장모음(장) + 생음(종자음) = 평성- มาร , งาน
④ 저 + 단모음(사) + 사음(종자음) = 3성↗ ทัด , มัด
응용성조(복합자음)
① 중, 고자음 + 생음(장) = 선도자음의 성조를 따름
สนุก [สะ-หนุก][싸↘눅↘] , จมูก [จะ-หมูก] [짜↘묵↘]
② 자음 + 사자음 = 각 음절의 성조에 따름
ขจัด [ขะ-จัด][카↘짣↘] , คดี [คะ-ดี][카↗디-]
③ 저자음 + 자음 = 각 음절의 성조에 따름
ชนะ [ชะ-นะ][차↗나↗] , ทลาย [ทะ-ลาย][탈↗라이-]
폴리아카데미 유튜브에서는
30개 언어 동영상의 문법과 회화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폴리아카데미 [ 바로가기 ]
직장을 다니면서 투잡(알바/부업)으로 월급 많큼 수익을 얻고 싶으시다면 아래 접속하셔서 상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믿음의 재택부업회사)
'다국어 > 01 각국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베트어 회화] 제8강 무엇을 하고 계신가요? (0) | 2017.11.07 |
---|---|
[티베트어문법] 제8강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0) | 2017.11.07 |
태국어회화] 제11강 호텔에서 체크 아웃 (0) | 2017.11.03 |
[태국어 문법] 제11강 태국어의 여러가지 조동사 (0) | 2017.11.02 |
스페인어 회화 / 식당에서 사용하는 유용한 표현들 (0) | 2017.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