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교육을 통한 다문화교육(1)
1. 체육교육과 다문화교육
가. 사회통합수단으로서의 교육
1) 최근 세계적으로 다문화 정책의 초점은 통합이다.
2) 체육은 전통적으로 사회 통합의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
3) 해외 선진국들도 체육의 사회 통합 기능을 강조해왔으며
체육은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이 사회적응을 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나. 다문화사회의 체육수업
1)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는 긍정적인 교실 분위기를 조성한다.
2) 통합적 학습프로그램을 운영한다.
3) 통합적 측면의 활동 프로그램 운영한다.
4) 통합체육교육과정과 체육교과서에 있는 다문화 교육요소를 의미있게 전달한다.
5) 수업 활동에서 학습전략과 학습조직을 효율적으로 설계한다.
2.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가. 다문화 체육교육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은
다양성, 정체성, 평등, 정의, 인류의 보편적 가치 실현을 하는 시민성을 기른다.
나. 다문화 체육교육과정의 목표 : 신체활동 가치의 내면화, 실천 통한 전인교육,
공동체 생활에 필요한 선의의 경쟁과 협동 능력 등 바람직한 인성의 함양
다. 다문화 체육교육과정의 교수-학습
1) 배려, 나눔, 공평등의 창의 인성요소를 지향한다.
2) 각 개인의 상황과 수준에 맞게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수업을 실시한다.
3) 여러 활동을 통한 통합적 가치를 강조한 통합적 교수학습 활동을 적용한다.